치매의 다른 여러 원인
혈관성 치매
혈관성 치매는 두 번째로 흔한 치매의 원인이며 전체 치매 환자의 10~20%이다. 그 외에 10~15%는 혈관성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이 같이 있는 혼합형 치매 환자이다. 혈관성 치매의 위험인자로는 고혈압, 심장질환, 흡연, 당뇨, 비만, 뇌졸중의 기왕력 등 뇌졸중 자체의 위험인자와 관련되어 있다. 다발성 경색 치매는 시작이 급성이고 경과는 계단식으로 악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알츠하이머병에서와는 달리 초점 성 병소에 의한 증상들이 초기에 나타난다 시야 결손이나 건망증과 같은 국소 증상들이 동반된다. 두정엽이나 전두엽의 병소에 의해서 추상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는 실행증이 생긴다. 다발성 경색 치매를 일으키는 뇌졸중은 큰 동맥의 체색보다는 세동맥의 폐색으로 인한 뇌졸중이 더 중요하며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 치매가 동반된 경우도 많이 있다.
초기 진행 과정
오래된 일 기억이나 2-3시간 전의 일 떠올리기 어려워함
물건 둔 곳이나 사람들과의 약속을 잊어버리고 교제에서 혼란을 느낌
무례한 행동과 말을 삼가는 기본적인 인격은 비교적 유지함
중기
새로운 일을 생각해 내는 것이 어려워지며 인식장애가 시작됨
말기
기억력이 극도로 저하되고 젊은 시절의 기억만이 단편적으로 남아있음.
식사나 목욕, 배변 등에서 타인의 도움을 받고 주위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반응에 흥미를 보이지 않음.
의사 전달이 불가능해지고 말을 하지 않게 된다.
HIV 감염
이 질병의 환자 중 약 16-25% 정도는 치매가 기회감염이나 종양에 의한 증상보다 선행되며 매년 약 14% 정도의 환자에서 치매가 발생한다. 시작은 잠행성이고 증상은 진행성 치매, 보행실조, 추체외로 증상 그리고 우울증과 유사한 행동 이상들이다. 인지기능 장애는 수개월 동안 계속 악화하여서 함구증, 혼수에 이르고 습관성 감염으로 사망하게 된다. 뇌척수액 소견은 경도의 만성염증성 변화를 보이며 CT 촬영 소견은 피질의 위축과 뇌실 확대 등이 있고, 신경 병리학적 소견은 대뇌에는 위축이 있다.
두부 외상
두부 외상 후의 치매는 극심한 상태인 지속적 식물상태로부터 경미한 지적 장애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는 천차만별이다. 지속적 식물상태는 의식은 있으나 모든 정신 기능을 상실한 상태로서 보통 1년 이내에 사망한다. 경미한 지적 장애가 있는 환자는 건망증과 주의집중장애를 호소하나 정신 측정검사들에서 환자들의 효소를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신경증과 감별하기 곤란하다. 권투가 명정 증후군은 특수한 외상 후 치매로서 프로권투 선수들이 선수 생활을 그만둔 후에 점차적인 지적장애와 함께 소뇌 증상이나 척추뼈 몸통으로 증상들이 생긴다.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주로 50대에서 60대에 발병하며 30세 이전의 발병은 매우 드물다. 대뇌 피질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서 대뇌의 기능장애가 일어나면 치매를 일으키지만, 대뇌의 피질보다 기저핵의 퇴행성 변화가 주로 생기면 파킨슨병이 생긴다.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임상증상은 처음에는 한쪽 팔이나 다리가 저리고 아프다는 증상을 호소하거나 혹은 힘이 ᄈᆞ진다는 증상을 주소로 병원을 방문하지만, 경추나 허리뼈의 신경근종이라고 오진을 받거나 간과되기 쉽다. 그러나 병이 진행되면서 움직이지 않아도 떨리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떨림은 주로 손에서 관찰되며 움직임이 없을 때 나타나며 행동하면 감소한다 병이 지나면서 표정이 감소하고 목소리도 작고 단조로워진다. 눈을 깜빡이는 횟수도 감소하며 보폭이 감소하고 발을 끌면서 걷고, 빨리 걷지 못하고 팔을 흔드는 것이 감소하는 등의 증상이 있고 자세도 허리가 앞으로 구부러지는 포즈를 취한다. 발병 초기부터 자율신경계 장애가 있어서 변비, 배뇨, 곤란, 기립 저혈압의 증상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알코올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는 주정중독으로 입원한 환자의 3% 정도에서 나타나며, 인지장애가 의심되어 검사받는 환자의 7% 정도가 알코올성 치매로 추정된다. 이 치매의 위험인자로 여성, 50세 이상인 경우, 지속적인 음주가 있다.
'노인복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양한 치매 양상과 진단 (0) | 2022.10.06 |
---|---|
뇌졸중의 이해 (0) | 2022.09.22 |
치매의 원인과 증상 (0) | 2022.09.19 |
노인학대와 그 의미 (0) | 2022.09.17 |
고령자의 고용실태 (0) | 2022.09.16 |